2004년 '5.18민주화운동' 24주년 기념식이 열리는 광주
국립5.18묘지에는 '임을 위한 행진곡'이 울려 퍼졌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군악대와 합창단과 함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목소리 높여 불렀습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노무현 대통령을 바라보는 보수
우익은 물론이고, 그 자리에 참석한 일부 관료들은 못마땅하기
그지없었습니다. 그것은 '임을 위한 행진곡'이라는 노래 자체가
전두환 정권 시절에는 금지곡을 떠나 노래를 불렀다는 자체만으로
체포될 수 있었던 곡이었기 때문입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은 처음 만들어진 1982년 이후 대학가와 노동,
농민 운동, 6.10항쟁 등 대한민국 민주주의 운동이 벌어지는 곳에서는
어김없이 불리던 노래였습니다. 어쩌면 이 노래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역사를 대변하는 곡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2004년 노무현 대통령이 참석하는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행사장에서 공식 추모곡으로 불린 것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가 끝나고 들어선 이명박 정권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싫어했습니다. 그래서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본 행사에서
제외한다는 방침을 공식적으로 밝히기도 했으며, 2010년
5.18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에서는 방아타령을 연주
하기로 했다가 파문이 일기도 했습니다.
박근혜 정부가 들어서자 국가보훈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대체할 공식 추모곡 제작에 나선다고 합니다. 이는 앞으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퇴출하겠다는
의도입니다. 하지만 진정으로 이 노래가 만들어진 배경을
안다면 절대 그런 짓을 하면 안 됩니다.
'임을 위한 행진곡'에 담긴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기고, 과연
이 노래가 퇴출당해야 마땅한지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부끄러워 만든 노래, 임을 위한 행진곡'
임을 위한 행진곡은 소설가 황석영이 개사했고,
소니비엠지뮤직의 김종률씨가 작곡한 노래입니다.
이 노래가 만들어진 배경은 한 마디로 '부끄럽고
죄송해서'였습니다.
1982년 2월 20일 광주 망월동 묘지에서는 마치 살아
있는 사람의 결혼식을 하듯 축의금까지 받는 영혼
결혼식이 열렸습니다. 신랑은 시민군 대변인으로
활동하다 1980년 5월27일 계엄군의 작전으로 도청에서
사망한 윤상원이고, 신부는 학생신분을 속이고 공장에
취업하며 노동운동가로 활약하며 1978년 광천동
들불야학을 주도했던 박기순이었습니다.
이 두 사람의 영혼결혼식이 열렸던 1982년 광주는
수백 명의 5월 항쟁 관련자들이 여전히 감옥에
수감되고 입 밖으로 항쟁을 얘기도 할 수 없었던
시기였습니다.
1982년 3월 운암동 황석영씨 집에 황석영,김종률,
전용호씨가 모였습니다. 이들은 5월 항쟁에도
참여하지 못했고, 영혼결혼식에도 참석하지 못해
죄책감을 가지고 있던 마음을 두 사람의 영혼을
기리는 창작노래극으로나마 달래자는 황석영씨의
제안에 따라 전체 구상과 노랫말은 황석영씨가
작곡은 대학가요제 수상 경력을 가진 김종률씨가,
전영호씨는 노래부를 사람을 물색하고 연락하는
일을 맡기로 했습니다.
황석영씨는 당시 출판됐던 백기완씨의 시집에서
시를 골라 노랫말을 만들었는데, 그 노래가 바로
'임을 위한 행진곡'이었습니다.
출처 :국민tv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