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의동산
로그인회원등록비번분실현재접속자
   
내용없음9
내용없음10

회원등록 비번분실
Home Intro
HOT menu
포인트순 글등록순 회원님
관리자 0  
DoChoSea 0  
광현 0  
성순 0  
5 명활산 0  
6 sunlee 0  
7 산인 0  
8 청해산 0  
9 운곡 0  
10 청바지 0  
11 봉우리 0  
12 dalma 0  
13 다솜 0  
14 고등어 0  
15 무지개 0  
cache update : 30 minute



 culture life news
유익한글
 
작성자 광현
작성일 2013-09-17 19:38
ㆍ조회: 409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氣와 靈의 세계.
우리는 전통적인 관례로
4대조 이하 조상님들께 제사를 올린다.
왜 하필 5대조나 6대조가 아닌 4대조 이하일까?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거기엔 이유가 있다.
사람이 죽으면 그 기(氣)의 파장이
약 100년 동안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氣)의 파장이 변하지 않으므로 자기와 파장이

같은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1대를 25년으로 하면 4대조는 100년이 된다.

돌아가신 분은 100년 동안의 바로 자기의 가족이나 후손과

 함께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4대조 이하의 조상영들은 후손과 파장이 맞으므로

후손과 함께 할수 있고 후손의 삶을 좌우할 수 있는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 영향력도 음과 양으로 좋은 쪽과 나쁜 쪽 양갈래이다.

 그것은 모두 그들 조상영의 생전의 사람됨과 인격

그리고 업보에 따라 나타난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살아 생전에 착하고 어질게 살아 높은

 영계에 가 계신 조상영은 후손을 위해

여러가지 도움을 주고 보살펴 주려고 애쓰지만,

 생전에 인간됨이 천박하거나 악독했던 사람,

혹은 어려서 세상물정 모르고 죽은 소위 철부지 귀신들은

후손을 못살게 굴고 온갖 나쁜 짓을 서슴치 않는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좋은 일이건 나쁜 일이건 조상이 일을 하기 위해서는

 후손의 몸을 빌지 않으면 안 된다.

조상은 영(靈)으로 존재하고,

영은 곧 기(氣)이므로 물질인 육체가 없이

 기만으로는 아무것도 행할수가 없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즉 천지조화가 불가능한 것이다.

파장이 맞는 고로 4대조 이하 조상영은 그 후손의 몸에 임할 수 있다.

조상의 영혼이 후손의 몸속에 들어오는 것은

우리가 텔레비젼의 채널을 맞추어서

어떤 특정 방송국의 방송을 수신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죽음은 끝이 아니다!
죽음이란 무엇인가? 죽으면 모든 것이 끝나는 것인가?
생유어사(生由於死)하고 사유어생(死由於生)이니라.
삶은 죽음으로부터 말미암고 죽음은 삶으로부터 말미암느니라. 
 

 죽음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다.

지상에서의 죽음은 천상에서 영혼으로 다시 태어나는,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말하자면 제삿날은 천상에서의 생일날과 같은 것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사람에게는 혼(魂)과 넋(魄)이 있어 혼은 하늘에 올라가 신(神)이 되어

제사를 받다가 4대가 지나면 영(靈)도 되고 혹 선(仙)도 되며

넋은 땅으로 돌아가 4대가 지나면 귀(鬼)가 되느니라.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이 말씀과 같이 사람의 몸은 육체와 유체로 구성되어 있다.

육체(肉體)는 우리가 만질 수 있는, 물질적으로 된 몸이고,

유체(幽體)는 ‘그윽하다, 숨어있다’는 뜻의 유(幽)자를 쓰는데

이는 보이지 않는 몸이라는 뜻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육체 속에는 넋이 깃들어 있고, 유체 속에는 혼이 깃들어 있다.

혼은 유체보다 더 영적이며, 유체는 혼이 깃들어 있는 그릇이라 할 수 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육체와 유체는 혼줄로 연결되어 있는데 혼줄이 끊어지면 죽음에 이른다.

육체를 버리면서 지상에서의 삶을 마감하고

 천상에서의 새로운 삶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제사는 내 생명의 뿌리에 대한 보은이다.
죽은 사람에게는 왜 절을 두 번 하는 것일까?
설날 같은 명절 때 할아버지나 부모님께 드리는 세배는 한번 절을 합니다.

그에 비해 돌아가신 조상님의 제사를 지낼 때는 절을 두 번 합니다.


이처럼 산사람과 죽은 사람에게 절하는 횟수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것은 음양사상에 따른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1은 양을 뜻하고 2는 음을 뜻합니다.

즉 살아있는 사람은 양이고 죽은 사람은 음이랍니다.

그래서 절의 횟수도 음양으로 구분하여 산사람에게는 한번 절을 하고,

죽은 사람에게는 두 번 절을 한답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상을 당한 초상집에 가서도 이런 경우를 쉽게 접하게 됩니다.

돌아가신 분의 영정 앞에서는 두 번 절을하고

상주 분들에게는 한번 절을 하는 거죠.

참고로 절에는 2배, 3배 뒤에 반절이라고 해서 붙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절 뒤에 손을 가지런히 모으고

허리를 간단하게 숙이는 것을 말합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산사람한테는 한번 절하는 일배 뒤에는 반절이 안 붙지만

죽은 사람에게 하는 재배나 혹은 불교에서의 삼배 같은 절에는

 반절이 붙는다는 것을 알아 두시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엄격히 말하면

죽은 사람에게는 두배 반을 절한다고 여기시면 됩니다.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절은 무엇보다 공손하게 올리는 것이 예의입니다.
절을 할 경우 그 손가짐도 헛갈리는 분이 많은데,

산사람에게 절을 할 때는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에 가지런히 올려놓고 절을 하고,

여자는 그와 반대로 오른손을 왼손 위에 올려놓고 절을 한답니다.

반면에 죽은 사람에게 절을 할 때는

위 경우와 남여 각각 반대로 하면 된답니다.

     
이름아이콘 광현
2013-09-17 19:48
맏는 말인지 모르겠네요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이모티콘 필요할때 쓰세요 1 광현 2013-10-20 349
240 프로와 아마추어차이 광현 2020-08-30 20
239 남편이라는나무 1 광현 2015-05-23 438
238 빨래를 하십시요 광현 2014-07-12 443
237 너무착한 남편 1 광현 2014-07-10 489
236 돈주고도 살수없는 생활의 지혜 광현 2014-07-09 479
235 생전에 봐야할 한국의 백경 광현 2014-01-18 432
234 열두달의 친구이고 싶다 광현 2014-01-01 385
233 징글벨 광현 2013-12-16 327
232 마음에 새기면 좋은글 1 광현 2013-12-08 320
231 ♣ 재미있는 숫자의 신비? ♣ 광현 2013-11-16 302
230 걸인과 창녀와 천사 ♣ 광현 2013-10-19 440
229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에 담아 마시는 것은 건강에 치명적 광현 2013-10-14 464
228 악처가 철학자 남편을 만든다? 광현 2013-10-13 317
227 여자를 기쁘게 해주는 방법 광현 2013-10-13 258
226 '베풀면 반드시 돌아옵니다' 광현 2013-10-09 381
225 아름다운 인연과 사랑으로 광현 2013-10-06 304
224 ♡채동욱 아내의 호소문♡ 광현 2013-10-05 353
223 세상에서 가장 먼 길 광현 2013-10-05 307
222 지갑 속에 담긴 사랑 이야기♡ 광현 2013-10-03 302
221 신 칠거지악 광현 2013-10-01 319
220 잃어버리고 사는 것들 광현 2013-09-24 309
219 ♡우리 서로 기쁜 사람이 되자♡ 1 광현 2013-09-24 322
218 그 감동의 눈물 광현 2013-09-20 341
217 인생의 목적은 승리가 아닌 성숙 광현 2013-09-20 371
216 대한민국 국민들께 보내는 호소문...퍼옴 광현 2013-09-20 291
215 효는 백행(百行)의 근본 광현 2013-09-17 363
214 왜 제사는 4대까지 지낼까 1 광현 2013-09-17 409
213 ♡집안 아무곳에나 두면 좋지 않은 26가지♡ 광현 2013-09-17 296
212 어느 군인 아내의 편지 광현 2013-09-17 344
123456789

copyrights 2013,03, (c) by p.k.h All rights reser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