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의동산
로그인회원등록비번분실현재접속자
   
내용없음9
내용없음10

회원등록 비번분실
Home Intro
HOT menu
포인트순 글등록순 회원님
관리자 0  
DoChoSea 0  
광현 0  
성순 0  
5 명활산 0  
6 sunlee 0  
7 산인 0  
8 청해산 0  
9 운곡 0  
10 청바지 0  
11 봉우리 0  
12 dalma 0  
13 다솜 0  
14 고등어 0  
15 무지개 0  
cache update : 30 minute



 culture life news
유익한글
 
작성자 광현
작성일 2013-03-08 20:03
ㆍ조회: 254  
조선조의 청백리 맹사성의 일화
물질 문명이 발달할수록 인간의 타락은

끝없이 진화한다,

 

조선조의 청백리 맹사성의 일화


 



◇ 충남 아산에 있는 고불(古佛) 맹사성 고택.
최영 장군이 살던 집으로 북향 명당집으로 유명하다.
10세 때 이사왔으며 고불은 최영의 손녀 사위다.


 



◇ 조선 세종 때의 재상인 고불 맹사성 선생의 묘소.


 

      조선 시대의 3대 청백리 반구정의 황희 정승,
      충남 아산의 고불 맹사성(1360∼1438).
      전남 장성의 아곡 박수량(1491∼1554) 선생이다.


 

 
* 고개를 숙이면 부딪히는 법이 없습니다 * 
 
열 아홉에 장원 급제하여 스무 살에 파주 군수가 된 
맹사성은 자만심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느 날 그가 무명 선사를 찾아 물었다. 
"스님 군수인 제가 삼아야 할 좌우명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오?" 
"그건 어렵지 않지요. 착한 일을 많이 베푸시면 됩니다." 
"그건 삼척 동자도 다 아는 이치인데 고작 그것 뿐이오?" 
맹사성은 거만하게 말하며 자리에서 일어난다. 
그러자 스님은 녹차나 한 잔 하고 가라며 붙잡았다. 
그는 못이기는 척 자리에 앉았다. 
스님은 그의 찻잔에 넘치도록 차를 따르고 있다. 
"스님,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망칩니다." 
맹사성이 소리쳤다. 
하지만 스님은 태연하게 계속 차를 따른다. 
그리고는 잔뜩 화가 난 맹사성을 물끄러미 쳐다보며  
"찻물이 넘쳐 방바닥을 적시는 것은 알고,
지식이 넘쳐 인품을 망치는 것은 어찌 모르십니까?" 
스님의 이 한 마디에 맹사성은 부끄러워
황급히 일어나 방문을 열고 나간다. 
그러다가 문틀에 세게 부딪히고 말았다.
그러자 스님이 빙그레 웃으며 말했다. 
"고개를 숙이면 부딪히는 법이 없습니다."
 
* 비가 새는 초라한 집에서*
 
맹사성은 효성이 지극하고 시와 문장에 뛰어났으며, 
음악을 좋아하고 마음이 어질고 너그러운 사람이었다. 
그리고 오직 나라에서 주는 녹미(요즘의 월급)만으로 
생활을 하는 청백리다 보니 집안이 찢어지게 가난했다. 
그러나 맑고 깨끗한 그의 생활에는 한 점의 티도 없었다. 
어느 비 오는 날 한 대감이 그의 집을 찾았다. 
그 대감은 속으로 놀랐다.
'세상에! 한 나라의 정승이라는 사람이 이렇게 
초라하게 살다니...'
안으로 들어가서 맹정승을 만난 대감은 더욱 놀랐다. 
여기 저기서 빗물 새는 소리가 요란하고, 
맹정승 부부는 빗물이 떨어지는 곳에 그릇 갖다놓기 바빴다. 
대감은 그만 눈물이 핑 돌아 말을 제대로 잇지 못했다.
"대감께서 어찌 이처럼 비가 새는 초라한 집에서…"
" 허허, 그런 말 마오. 
이런 집조차 갖지 못한 백성이 얼마나 많은지 아오?
그런 사람들 생각을 하면 나라의 벼슬아치로서 
부끄럽소. 나야 그에 비하면 호강 아니오?"  



* 맹사성의 흑기총(黑麒塚, 검은 소 무덤) *



 


햇살이 따사로운 어느 해 봄날. 
고불(古佛) 맹사성(孟思誠·1360∼1438) 대감이 집 뒤 
설화산 기슭을 오르던 중 어린 동자들에게 시달림을 
받고 있는 큰 짐승을 발견했다. 
장난기가 발동한 아이들은 짐승의 눈을 찌르고, 
배 위에 올라 타면서 신나게 놀고 있었다. 
멀리서 보니 짐승은 괴롭힘을 당하면서도 
어쩐 일인지 꼼짝도 못했다. 
평소 남의 일에 참견하지 않던 고불이 호통을 쳤다.
“이런 고얀 녀석들! 말 못하는 짐승을 돌보지 않고 
못살게 굴어서야 되겠느냐? 썩 물러가지 못할까!”
혼비백산한 아이들이 줄달음치고 난 다음, 
고불이 가까이 가보니 검은 소가 탈진해 있었다. 
얼른 집으로 가서 소죽을 쑤어다 먹이고 극진히 간호했다. 
기운을 차린 검은 소가 꼬리를 치며 고불을 따라왔다. 
집에 데려와 정성껏 거두며 주인 잃은 소를 찾아가라고 
동네방네 소문을 냈지만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후 고불은 이 소를 수족처럼 아끼며 한평생을 타고 다녔다. 
세종 20년(1438) 79세로 고불이 죽자,  
검은 소는 사흘을 먹지 않고 울부짖다가 죽었다. 
사람들이 감동하여 고불의 묘 아래 묻어 주고,
'흑기총(黑麒塚)'이라 이름했다. 
지금까지도 검은 소 무덤, 흑기총은 고불 묘를 
금초를 할 때 빼놓지 않고 벌초하여 잘 보존되고 있다.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31 남자가 실어하는 여자 메이크업 여자분들 보세요 광현 2013-03-15 735
30 피부미인 화장 잘하는법 여자분들보세요 광현 2013-03-15 472
29 보기힘든 귀한 사진자료입니다 광현 2013-03-15 288
28 고 박정희 대통령 장모님의 생신 축하연에서 노래하는 영상 광현 2013-03-13 432
27 콜라를 좋아하시는 분들께... 광현 2013-03-13 272
26 가난하지만 행복한 부부 광현 2013-03-13 293
25 마음을 보면 미래를 안다 광현 2013-03-12 280
24 백두산 야생화 광현 2013-03-11 298
23 백두산 야생화 광현 2013-03-11 274
22 그때그시절 시내버스 차장있던시절 광현 2013-03-11 286
21 아름다운 봄 이미지 광현 2013-03-11 294
20 조개의 불순물과 비린내를 한 번에 없애려면... 광현 2013-03-09 257
19 사찰 추녀 끝 풍경에 물고기를 매단 이유 광현 2013-03-09 285
18 인간은 시련 뒤에 인격이 형성된다 광현 2013-03-09 237
17 유익한 생활 상식 광현 2013-03-09 274
16 이마죤의 부족 [볼만하네요] 광현 2013-03-09 240
15 하루에 한번씩 읽어도 좋은글 광현 2013-03-08 240
14 조선조의 청백리 맹사성의 일화 광현 2013-03-08 254
13 그때 그시절 ...삼청교육대 펌 광현 2013-03-08 249
12 마음에 담아두고싶은 메세지 광현 2013-03-05 261
11 절대 만나면 안 되는 남자 유형 15 광현 2013-03-05 250
10 3.1절을 기리며 광현 2013-03-01 269
9 젊은이 들이여 전쟁을 아는가? ..펌 광현 2013-03-01 280
8 STOP! THE WAR(특집) 광현 2013-03-01 246
7 침묵의 살인마 광현 2013-03-01 260
6 옛 선인들의 시조 광현 2013-03-01 363
5 우리 그렇게 가자구 광현 2013-02-27 241
4 러스킨의 길 광현 2013-02-27 270
3 결국은 마음 광현 2013-02-27 236
2 난 할수있어 광현 2013-02-27 243
123456789

copyrights 2013,03, (c) by p.k.h All rights reserve